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상 심리학에 대해
    정신건강 2023. 12. 4. 16:12
    728x90
    반응형

    이상 심리학에 대해

     

    이상심리학 이란 - 정상적이지 않는 행동 감정을 특정 행동을 연구하는 심리학의 분야이며

    흔히 말하는 정신 장애로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행동들이 이상 심리학으로 볼 수 있지만 심리학은 평균적인 맥락에서의 행동을

    야기하고 있다

    종종 사회적 문화적으로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이상 심리학은 적응 행동과 부정응 행동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볼 수 있다

    적응 행동은 개인의 성격에 따라 사람들과 잘 어울리며 타인을 이해하려는 행동으로 보며

    부적응 행동은 개인의 성격이 예민하며 주변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없어

    일상생활에서의 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이상 심리학의 연혁

     

    정신병원 - 영국의 왕 헨리 8세가  정신질환자를 수용하였으나

    런던에 위치한 이 병원은 최악의 상태였다 

    이 시대에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비참한 상황을 떠나 사회에서는 보듬어 주지 않고 애물덩어리 취급하였으며

    사회의 문제아로 취급받으며 최악의 경우 짐승 혹은 범죄자와 같은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간혹 정상적인 치료를 받는 이도 종종 있긴 했다

     

    이상 심리학적으로 행동 문제는 체계적으로 접근 연구를 하였야 했으나

    초기 연구는 거의 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는 짐승과 같은 취급을 받았으며 혹은 범죄자 취급을 하여놓고

    국가적 이윤을 목적으로 구경거리로 전략하였다

     

    프랑스 출신인 필립 피넬의 활약으로 이상 심리환자들은 인도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으로 

    그는 이상 심리환자들을 짐승이나 범죄자자들처럼 방치나 학대하지 아니하고

    보통의 사람들과 똑같이 대해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필립 피넬은 정신 이상자들에게 쇠사슬을 제거하자는 아이디어를 제공하였으나

    초기엔 어려움을 겪었으나 꾸준하게 주장한 결과

    쇠사슬의 제거 아이디어는 대 성공을 이루었다

    그 결과 정신병원을 운영하는 기본적인 발판을 이룰 수 있었다

     

    영국뿐 아니라 미국의 주립 정신 병원에는 40만 명 이상의 이상 심리 환자들이 있었으나

    그들의 입원과 치료기간은 너무나도 길었다

    미국의 주립 정신 병원은 기존 병원의 시설보다는 훨씬 좋은 시설이었지만

    치료 방법은 여전히 부족하였으며

    개혁운동이 일어났음에도 이상 심리 환자들은 영국과 마찬가지로

    짐승이나 범죄자 취급을 받았다 

     

    1946년 소설 뱀구멍이 영화로 제작되며 이상 심리환자들에 대한 상황이 나아지기 시작했다

    1946년 국립정신보건연구소 설립, 힐버튼법(정신보건병원에 지원금 제공) 통과

    1963년 힐버튼법은 지역 보건 서비스법도 지원을 하였음

     

    20세기 후반에 들어 세계적으로 정신병원이 문을 닫게 되었다

    그 가장 대표적인 예는 영국에서 20세 초 130개를 열었으나

    21세기에 운영하는 곳은 14곳에 불과하였다

     

    미국에서는 존 F프레지던트. 케네디에 의하여 커뮤니티 헬스 운동을 기반으로

    40년 동안 운영 한 결과 이상 심리 환자들의 수가 눈에 뜨일 정도로 감소하였다

     

    이상 행동의 설명과 전통

     

    초자연적 설명 -  초자연적인 현상은 지구밖에서 일어나는 이유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난다고 주장을 한다

    석기시대의 경우 정신 질환자들에게 악령이 있다고 믿어 

    그 악령을 없애기 위해 정신 질환자의 머리를 잘라내는 전통을 보였다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뇌에서 수분에 문제가 있어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았고

    중세 시대에는 마녀들이 정령의 힘을 받아 이런 현상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퇴마의식을 통해 정령의 힘이 

    인간의 육체에 머무르지 못하게 감옥에 구금을 하거나 고문과 구타를 하였다

    범죄자들이나 받을법한 퇴마의식은 15세기까지 이어졌으며

    이러한 초자연적 현상으로 인한 퇴마 의식은 아직까지도 이어지는 곳이 있다

     

    초자연적 전통 - 과거에서 현재까지 비정상정인 행동에 대해 

    여러 이론을 발표하였다 일부 구석기시대에서는 비정상정인 행동을

    보이는 사람에 대해 좋지 않은 영혼에 사로 잡혀 있다고 믿었다

    이 믿음은 나쁜 영혼을 위로해 주기 위해 비정상정인 행동을 보인 이들의

    머리에 구멍을 뚫은 비인간적인 치료법을 하였다

     

    생물학적 설명 - 심리적 문제는 생물학적 원인에서 발생이 된다

    심리적인 문제는 심리의 발달과 사회적 문제에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이상행동은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치료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뇌는 의식, 감정 등을 나타내는 기관으로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의식, 감정등의 이상감정의 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뇌에서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히포크라테스의 뇌에 문제가 있다는 논리는

    로마 출신 의사 갈렌에 의해 밝혀졌다

     

    심리적 설명 - 1.2.3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1. 이드 - 의식이 없고 개인의 원초적 충돌

    2. 에고 - 개인적인 양심, 사회규면, 도덕적 내면화

    3. 초자아 - 1.2번의 현실적 통합하는 역할

     

    비이성적인 신념 - 불안함을 느끼는 공포는 비이상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성적인 사고방식이 불한함을 이겨낼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영향 - 가족, 친구 더 나아가 전 세계적으로 개인에게 여러 한 영향을 줄 수가 있으며

    사회적 위치 성별, 차별등은 비이상행동인 행동의 요인이 될 수가 있다 

     

     

    많은 사람들과의 관계  - 심리적 치료의 분야는 여러 이론적 시점으로 인해 설명하기가 어렵다

     

     

     

    비정상적인 심리학의 나타나는 광범위 장애의 종류

    정신 분열증 - 조현병이라고도 불리며 

    망상, 환각증상이 보이며 비정상적인 사고를 하는 게 특징

     

    주의 결핍 과잉 행동 장애 - ADHD라고 줄여서 표현할 수 있으며

    신경계 발당 장애이다 성장기부터 증상을 보이며

    가만히 있기 어려움 기다리지 못함으로 충동적으로 과잉 행동을 보인다

    소아기부터 청소년까지 지속되나 성인이 된 후에도 증삭을 지속적으로

    보일 수 있다 

     

    반사회적 성격 장애 (소시오패스) - 인격장애의 일종이며

    타인을 생각하는 능력이 결여되는 것이 특징 

     

    해리성 정체성 장애 (이중인격 또는 다중인격) - 어떠한 상황이 정신적인 충격으로 인지되어

    그 충격적인 기억으로 인해 그 기억의 일부가 분리되어 전혀 다른 사람처럼 행동 

     

    사회 불안 장애 - 새로운 사람들의 만남 또는 낯선 상황에 두려움과 불안을 느끼며

    그 상황을 피하려고 함

     

    불안 장애 - 일어나지 않는 미래의 상황에 불안과 공포를 느껴 일상생활에 장애를 일으킴

     

    특정 공포증 - 불안 장애의 하나로도 볼 수 있으며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노출되어 있을 때

    과도한 행동과 공포감을 느낌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신체의 특정한 부분을 다치거나 그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느꼈거나

    정신적 충격을 같이 겪는 사고 후 마음과 신체에 상처를 받아 나타나는 정신 질환 

    천재지변, 교통사고, 인질사건, 비행기사고 등으로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 되는 경우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